2025년 정부, 출산·육아 지원 및 혜택 정리! 참고해서 받아가세요!

반응형

 

 

 

 

💡 출산을 앞두거나, 출산 후 혜택을 신청하려는 부모님들! 혜택을 받기 위해서 꼭 확인해야 할 정보에요.
2025년부터 새롭게 바뀐 출산·육아 지원 제도와 지원금까지, 놓치지 않고 챙겨가세요!

저희 부부도 아기 출산하자마자 제가 면사무소, 보건소, 시청을 돌면서 신청하였어요.

아무래도 출산 후 아내가 움직이기 힘든 부분이 있어서 남편분들이 빠르게 신청해서 받으면 이쁨 받겠죠? 😊 

(인터넷으로 할줄 몰라 직접 방문하였습니다.. 허허)

 

출산 축하드립니다!

1. 임신 관련 지원


임신·출산 진료비 바우처 (국민행복카드)

📌 지원 내용

  • 단태아 임신 시 100만 원 지원
  • 다태아(쌍둥이 이상) 임신 시 태아 1명당 100만 원 지원

📌 필요한 서류
✔️ 임신 확인서 (산부인과 발급)
✔️ 신분증

 

📌 신청 방법
🔹 신청 장소: 국민행복카드 발급 은행, 카드사 (KB국민, 신한, 삼성, 우리, 하나카드 등)
🔹 신청 방법: 온라인 신청 가능 (해당 카드사 홈페이지)

 

📌 2024년 대비 변경 사항
✔️ 지원 금액이 90만 원 → 100만 원으로 인상
✔️ 다태아 지원금 확대 (2024년에는 140만 원이었으나, 2025년부터 태아 1명당 100만 원)


철분제 및 엽산제 지원

📌 지원 내용

  • 임신 16주 이상 산모에게 철분제 5개월분 지원
  • 임신 준비 중이거나 초기 임산부에게 엽산제 3개월분 지원

📌 필요한 서류
✔️ 임신 확인서
✔️ 신분증

 

📌 신청 방법
🔹 신청 장소: 거주지 관할 보건소 방문
🔹 신청 방법: 직접 방문 신청 후 즉시 수령 가능

 

📌 2024년 대비 변경 사항
✔️ 지원 기간 연장 (기존 4개월 → 5개월)


2. 출산 및 육아 지원


첫만남이용권 (출산지원금)

📌 지원 내용

  • 출생아 1인당 200만 원 바우처 지급
  • 출생일로부터 1년간 사용 가능

📌 필요한 서류
✔️ 출생신고서
✔️ 보호자 신분증

 

📌 신청 방법
🔹 신청 장소: 주민센터 방문 또는 정부24 온라인 신청
🔹 사용처: 병원비, 육아용품, 산후조리원 비용 등에 사용 가능

 

📌 2024년 대비 변경 사항
✔️ 둘째 이상 출산 시 300만 원 지급으로 확대!


부모급여 (출산 후 지원금)

📌 지원 내용

  • 0세(출생~12개월): 월 100만 원 지원
  • 1세(13개월~24개월): 월 50만 원 지원

📌 필요한 서류
✔️ 부모 및 아동 신분증
✔️ 아동 주민등록등본

 

📌 신청 방법
🔹 신청 장소: 읍·면·동 주민센터 방문 또는 정부24 온라인 신청

 

📌 2024년 대비 변경 사항
✔️ 0세 부모급여 70만 원 → 100만 원 인상
✔️ 1세 부모급여 35만 원 → 50만 원 인상


아동수당 (매월 지원금)

📌 지원 내용

  • 만 8세 미만 (95개월까지) 매월 10만 원 지급

📌 필요한 서류
✔️ 아동 주민등록등본
✔️ 보호자 신분증

 

📌 신청 방법
🔹 신청 장소: 읍·면·동 주민센터 방문 또는 온라인 신청 가능

 

📌 2024년 대비 변경 사항
✔️ 기존 7세 미만(83개월) → 8세 미만(95개월)까지 확대


3. 육아휴직 및 기타 혜택


육아휴직 급여 (6+6 부모육아휴직제)

📌 지원 내용

  • 부모가 각각 6개월 육아휴직 사용 시 최대 3,900만 원 지급
  • 육아휴직 첫 3개월: 통상임금의 100% 지급 (상한 300만 원)
  • 4~6개월차: 50% 지급

📌 필요한 서류
✔️ 육아휴직 신청서
✔️ 사업주 확인서

 

📌 신청 방법
🔹 신청 장소: 고용센터 또는 온라인 신청

 

📌 2024년 대비 변경 사항
✔️ 부모 동시 육아휴직 시 지원금 3,000만 원 → 3,900만 원으로 확대


출산장려금 (지역별 출산지원금)

📌 지원 내용 (지자체별 상이)

  • 서울: 첫째 30만 원, 둘째 50만 원, 셋째 100만 원
  • 경기도: 첫째 100만 원, 둘째 200만 원, 셋째 300만 원
  • 전라남도: 첫째 500만 원, 둘째 1,000만 원, 셋째 2,000만 원

📌 신청 방법
🔹 신청 장소: 거주지 주민센터 방문

 (시까지 봐야해요.. 제가 사는 곳은 경기도지만 출산율이 높아 혜택을 못받았어요!)


산후조리비 지원

📌 지원 내용

  • 출생아 1인당 100만 원 바우처 지급

📌 신청 방법
🔹 신청 장소: 주민센터 방문 신청


전기요금 감면

📌 지원 내용

  • 출산 후 3년간 전기요금 30% 감면

📌 신청 방법
🔹 한국전력 고객센터(국번 없이 123) 신청


마무리 정리 📌

👶 2025년부터 지원금이 대폭 인상되었어요!
부모급여 인상 (월 100만 원)
출산장려금 확대 (지자체별 500만 원 이상 지원)
육아휴직 급여 증가 (부모 공동 육아휴직 시 3,900만 원 지급)

📢 신청할 수 있는 혜택을 미리 확인하고 꼭 챙겨가세요!

 

📩 힘든 육아인 만큼 언제나 응원할게요!😊

 

반응형